• COSMIC FORCE

    broken image

    Qigong Meditation Art For Reflection and Awakening

    성찰과 각성을 위한 기공 명상 예술

     

    Meditation (through Qi-energy exercises) has shaped my entire life, also naturally becoming the very grammar of my Arting Acts. So my art is Art-Zen. This way of doing art has been publicly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in 1994 at the 22nd San Paolo Biennale and elsewhere, not widely, nor frequently.

    In this arting-acts as meditative qi-energy exerceses, my body becomes the body without organs of zillions of pulsating molecular vectors, each of which transverses the bodily boundaries, continuously interacting with the cosmic forces (of the pulsating molecular vectors of continous motion). Resonating qi-waves of molecular vectors from my body with the qi-waves of cosmic qi-forces is nothing other than the rhythmic refrain of the Song of Molecules. In this very resonances are the waking up of the unconscious that’s been stored in molecular codes. Resonating waves with harmonic frquencies are superimposed on top of one another to create stronger focused wave pulsations. This pulsating movement becomes the creative forces for my sculpture as well as drawings.

    -Kim Young Won

    Cosmic Force

    Paintings through Qigong Meditation

     

     

    This video shows sculptor Kim Young-won demonstrating the performance of making paintings through Qigong Meditation.

    Cosmic Force

    Sculptures through Qigong Meditation

     

    This video shows sculptor Kim Young-won demonstrating the performance of making sculpture works through Qigong Meditation.

  • Neo-Naturalist Art from Korea

    - Kim Youngwon’s Qi-Action Paintings and Sculpture-

     

     

    Written by Kai Hong

    The situation of global contemporary art today can only be characterized as its being in serious crisises in spite of its seeming flourishing and commercial succeses. Stanley Cavell saw in it “the pervasive possibilities of fraudulence.” A new direction in global contemporary art is demanded by the spirit of our age of the 21st Century. What is demanded is an ‘original’ art, according to Heideger, and Agamben more recently. Genuine ‘original art’ is not the kind of ‘originality’ as understood by the “postmoderns” or the ‘neo-avantgards’; rather, it is the kind of art that is closest to the ‘original spirit of art’ as understood by the Ancient Greeks, for example, when art had profoundly important roles to play in society. Then, Art came ahead of politics and religion even, for it was art which founded the new beginning of their history, nothing less. They respected and feared artists, thinking the artists were the rare ones who were stricken with ‘divine madness’ or in close contact with the gods. (Is it any that they call the ancient poet, Aeschylus’ tragedy of Orestei Trilogy as the ‘foundational play of Western Civilization’?)

     

    According to Heidegger or Agamben, it is not just contemporary art but Modern Civilization itself is in serious crisises and its cure can only come through the rediscovery of the forgotten meaning of ‘originary art’ and its ‘original’ status. What Heidegger and Agamben didn’t know was that such an ‘original’ art stricken with ‘divine madness’ had been practiced in ancient East Asia too and that such an original arting practices have not been entirely forgotten in Korea in particcular, whereas such an originary art has been actively suppressed and completely forgotten in the West. It is nothing other than the arting practices as an integral part of Qi-Energy exercises of body-and-mind-simultaneously. Art stricken with ‘divine madness’ is nothing other than the art of ‘shinmyeong’(in Korean) which means ‘to be in attunement with the cosmic forces of Qi-energy flows –i.e., the ‘Chonyin Hap-yil’. Notice that the Deleuze-Guattari’s modernist aspiration of “capturing of the cosmic forces” within the ‘finite’ of the modernist artist’s canvases has been fully realized in Korean Artist, Kim ‘s Arts of Qi-Ation Arting practices. In other words, Kim Youngwon has completed Deuleze-Guattarian modernism. (Had they known about Kim Youngwon’s Qi-Action Paintings and sculptures, they’d have chosen Kim’s works as examplary artworks of their version of modernist art, proposed as an alternative version of modernist discourse to the one by Clement Greenberg and Michael Fried.)

  • 신자연주의 예술을 주창하면서:

    홍가이 kai Hong

     

    21세기 초, 지금 이 시대를 사는 지성인은 어떤 질문을 하고, 무엇을 가장 절실하게 생각해야 할까?

    우리 시대 예술가의 역사적 미션과 역할은 다음과 같은 질문 곧, 지금 이 시대에 어떤 예술을 해야 하는가? 4차 산업시대에 걸맞은 예술∙문화가 따로 존재해야 하는가? 대중소비문화(Mass Consumption Culture)속에서 예술의 현황과 위상은 어떠한가?에 어떻게 답하느냐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지금 인류는 역사상 그 어느때 보다 전세계적으로 평화와 번영을 누리게 되었다. 그것은 무엇보다도 현대 과학 기술의 덕분이며, 과학과 문명의 진보에 발맞추어온 근현대 예술도 첨단문화의 중심 무대에 화려하게 자리매김하고 있다. 전 세계, 그리고 한국의 주요장소 곳곳에 세심히 설계되어 세워진 미술관들과, 뉴욕, 런던, 서울과 같은 대도시의 화려한 화랑들, 아트옥션하우스의 웅장한 건물들 등은 예술의 중심적 입지를 증명한다.

     

    그러나 세계화된 현대 예술의 외형적 화려함에도 불구하고, 우리 시대의 가장 심오한 사상가들로 자타가 공인하는 철학자들인 마틴 하이데거, 데리다, 들뢰즈 그리고 더 최근에는 아감벤같은 사상가들은 하나 같이 현대예술의 상황을 비관적으로 본다. 이 들은 현대 예술만이 아니라 현대문명이 안고 있는 내재적 모순self-contradiction을 지적하면서 현대 문명의 전반에 대해 비판적이다. 특히, 이들이 현대 예술의 미래에 대해 특별한 관심을 갖는 이유는 이들이 ‘예술’에 거는 기대 때문이라 볼 수 있다. 19세기 정치 철학자들이 현대 문명 사회의 문제를 정치 경제적 제도의 문제로 보아, 이상적인 제도의 혁명으로 그 돌파구를 찾고자 설파했다면, 위에 언급한 철학자들은 문제의 원인을 그저 충족적 소비자로 만족하는 현대인의 영혼 없는 삶의 방식으로 보았다. 과거의 모든 전통적 문화권에서는 종교가 신도들의 영혼을 관리했다. 그런데 위에 언급한 철학자들은 종교보다는 ‘예술’에서 현대 사회에서의 정신적 또는 영적 각성을 기대한다. 왜? 종교도 정치도 다 실패 했으니까. 그러나 그들이 기대하는 ‘예술’은 현재 ‘현대 예술’이라는 이름으로 현대 예술 문화의 주류를 이루는 그런 예술이 아니다. 그들은 지금을 ‘예술 본연의 모습’을 되찾은 예술이 절실히 필요한 시대라 보고있다. 그래서 하이데거의 사유를 계승한 아감벤은 현대예술가들을 “Man without Content”라고 까지 부른다.

     

    예술본연의 모습을 되찾은 ‘참’예술은 어떤 것 일가? 하이데거나 아감벤은 가장 ‘오리지널’한 예술이 바로 참 예술인데, 그것은 ‘오리지널’, 즉 ‘본래’의 위상을 되찾은, 본래의 모습에 가까운 예술이다. 그것은 현대 전위 예술가들이 이해하는 그런 개념이 아니다. 본래는 예술의 위상이 대단히 높아서, 고대 희랍 문명권에서는 예술작품들이 그 문명권의 역사를 열어주고, 그 문명의 역사적 진화의 역학적 원리와 논리를 제시하기도 하였다. 예술가들은 어떤 ‘신명divine madness’을 갖춘 또는 신과 접속하는 초능력자로 간주되었다. "예술 본연의 역할은 사회 구성원들의 지적, 정신적 그리고 영적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것"이라 하였다.

     

    지금 세계적으로 고착된 주류 예술의 상황을 혁신하기 위해, 우리 시대는 제대로 이해된 오리지널한 예술을 요구한다. 그래야 현대인들의 영적, 지적 요구spiritual and intellectual needs의 충족에 대한 갈망에 부합할 수 있다. 서구 문명의 역사 속에서 내재되어온 발전의 원리는 예술 본연의 모습을 망각하고 변질된 위장의 예술을 근∙현대 예술로 간주하고 찬양하게 만들었다. 오늘날 예술은 ‘예술 애호가’라 불리는 세련미 있는 문화인에게 마치 또 하나의 브랜드 명품 가방을 메는 것처럼 그 위상이 전락하였다. 이러한 위장을 깨고 원래의 모습을 되찾는 작업은 역사적 책무이자 사명이다.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는, 예술 본연의 모습을 갖춘 “현대”예술은 어떤 모습의 예술일가? 서구의 최고 철학자들이 그 출현을 간절히 바라던 신개념의 ‘현대’예술을, 지금 이곳, 한국에서 세계를 향해 제시하고 있다.

     

    구도적 명상 [Spiritual Meditation] 즉, 명상 자체가 예술이 되는 예술이야 말로 예술 본연의 모습을 되찾는 신역사주의 예술이다. 김영원 작가는 자신의 예술을 “자기 성찰과 각성의 예술”이라고 명명하고, “구도적 명상과 정신 수련을 한 선상에 놓고, 명상 자체가 예술 작업이 되는 예술”이라고 설명한다. 서구 최고의 석학과 철학자들의 논의에서 볼 때, 우리시대의 가장 ‘오리지널original”한 예술은 기공의 예술이다. 아방가르드 예술에서도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예술적 가치가 바로 ‘originality’ 이다. 오리지널리티가 없는 창조는 진정한 창조로 보지 않는다.

    동북아시아의 격언 “온고이지신”이야말로 서구 철학자들이 말하는 원초의 오리지널리티가 아니고 무엇인가? 기공의 예술이야말로 고대 우리 선조들이 추구하던 천지인합일의 예술이다. 김영원 작가의 기공의 명상 예술이 바로 천지인합일을 가능케 하는 예술이고, 이는 또한 서구 예술 철학자들이 말하는 원래(originally)의 ‘신명의 예술Art of divine madness’과 다를 바 없다. (여기서 ‘divine’은 ‘신’도 의미하지만 그냥 우주 변화의 흐름으로 읽어도 된다.) 천지인합일, 우주 순환의 흐름과 그 리듬에 공명하는 것 . . . 이것은 바로 프랑스 철학자 들뢰즈(Deleuze)가 말하는 생성의 예술적 추구에 다름 아니다. 들뢰즈의 생성은 무한성의 ‘Cosmic Foces’를 유한성의 예술작품 속에 담아내어 공명하는 것이 아닌가.

    서구의 문명이 자연을 정복하고자 한 차원에서 우주/자연과 상호 적대적 관계였다면, 천지인합일의 우주/자연의 기 흐름과 공명하는 기공을 기반으로 한 김영원 예술행위는 친자연적인 신자연주의 예술을 21세기의 참 예술로 설정하고 제시하는 것이다.

     

     

    2019. 홍가이